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경제 ∙ 경영

The Creative Curve :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 재능이란 무엇인가

by 에디터 Y 2023. 2. 23.

 

The Creative Curve :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

 

 

04 재능이란 무엇인가?

 

그림 그리기 13년 | 전문가로 가는 길 | 예술가의 천국 | 목적을 가지는 것 | 두뇌의 가소성

 

 

 

어느 분야에서 경험한 시간과 ‘성공’은 그다지 큰 밀접 관계를 갖지 않는다.

 

 

최고 수준의 선수들은 실력을 향상 시키려는 노력 뿐만 아니라 멘탈 모델이라 불리는 심적 표상의 정도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일반 선수들과 정상급 선수들은 마음 속으로 떠올리는 해당 분야의 매커니즘 혹은 패러다임의 질적인 면에서 수준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정교함이나 디테일의 수준) 그러나 이 역시 일반인도 올바른 훈련만 따른다면 창의성의 측면에서 누구나 재능을 보일 수 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성공한 사람들의 평균 연습 기간일 뿐 그들이 어떻게 훈련을 했는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1만 시간을 채우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실력을 향상 시키겠다는 정확한 목표를 가지고 피드백을 받으며 작은 것부터 반복적으로 훈련해나가는 것이다. 장인의 반열에 들기 위해서는 목적 있는 연습만을 적어도 5000시간 이상, 약 3-4년은 훈련해야 한다.

 

 

 

인간의 뇌는 매일 1400개 이상의 신경 세포를 생성해낸다. 이 세포는 8주에 걸쳐서 최대로 성장하고 가장 활성화가 많이 된 곳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즉, 새로운 학습이 나의 것으로 자리 잡는 데에는 2달이 걸린다는 것이다. 또한, 뇌 세포는 새로운 자극을 통해서 계속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주지 않으면 죽을 수도 있다. 즉, 계속해서 새로운 경험하고 학습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목적 있는 연습은 뇌 세포의 더더욱 정교하고 빠른 반응을 만들어낸다. 만약 계속 해서 같은 수준의 연습만을 반복한다면 정확히 그 수준의 시냅스 연결성은 강해지겠지만, 새로운 자극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더 정교하고 빠른 연결성은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헬스에서도 점진적 과부하라고 일컬어지는 점차 수준 높은 자극과 새로운 자극 등으로 계속해서 시냅스의 연결을 활성화 시켜주어야 하는 것이다.

 

 

 

자극이 반복되면 익숙해지고 무뎌진다. 이는 편해지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더는 발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력이 향상 되고 싶다면 확실한 목적을 가지로 체계적으로 꾸준한 훈련을 축적 시켜나가야 한다. 이는 지능이랑은 상관이 없는 영역이다.

 

-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 / 앨런 가넷 (나의 말로 풀어쓰기)

 

댓글